-
다크서클 없애는법과 원인▶ 건강팁 tip! 2019. 7. 21. 22:32
눈 밑에 생긴 다크서클은 얼굴을 퀭하게 만듭니다. 한번 생기면 잘 없어지지도 않습니다.
다크 서클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다크 서클이 생기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몇 가지 원인들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피로늦잠을 자거나, 극심한 피로를 느끼 거나, 정상적인 취침은 했더라도 침대위에서 몇 시간을 더 머무르면 눈 아래에 다크 서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면이 부족하면 피부가 어두워지고 창백해져서 피부 밑의 조직과 혈관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수면 부족으로 인해 피가 눈 밑에 모여 부은 것처럼 보입니다. 때문에 다크서클은 붓기가 찬 눈 밑에 그림자가 생겨서 더 심해보이기도 합니다.
나이나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노화도 다크 서클의 일반적인 원인중 하나입니다. 나이가 들면 피부가 얇아집니다. 또 피부의 탄력을 유지해주는 지방과 콜라겐이 적어집니다. 이는 피부 아래에 있는 혈관이 눈에 잘 띄게 되고 눈 밑 부분이 어두워집니다.
눈의 피로텔레비전이나 컴퓨터 화면을 보는 건 눈에 심한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이는 눈 주위의 혈관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눈 주위의 피부가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알레르기 반응과 안구건조증은 다크 서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때 신체는 해로운 박테리아에 대한 반응으로 히스타민을 방출합니다. 히스타민 때문에 혈관이 팽창하여 더 잘 보이게 됩니다.
또한 알레르기 때문에 눈 주변의 피부를 문지르고 긁을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증상을 악화시켜 염증, 부기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눈 아래에 다크서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탈수탈수도 다크 서클의 흔한 원인입니다. 몸에 적절한 양의 수분이 없으면 눈 아래의 피부가 탁해 보이고 눈이 푹 들어가 퀭해 보이기 시작합니다.
햇빛 과다 노출햇빛에 과다 노출되면 몸에 색소를 공급하는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눈 주변 피부의 색소가 침착되어 다크서클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크서클 없애는법다크서클을 치료하는 데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냉찜질냉찜질은 붓기 팽창을 줄이고 확장된 혈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붓기가 줄어들고 다크 서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깨끗한 수건에 얼음을 싸서 눈에 대거나 수건에 찬 물을 적시고 눈에 20분 동안 찜질해도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수건이 미지근해 지거나 얼음이 녹으면 위의 과정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충분한 수면
충분한 수면을 취하면 다크 서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면 부족에 따라 피부가 창백해지고 다크 서클이 더욱 선명해질 수 있습니다. 다크 서클이 생기지 않도록 하루에 7~8시간의 수면을 권장합니다.
베개 높이
수면 부족은 여러분의 눈 아래에 다크서클을 만드는 데 중요한 원인이지만, 때로는 여러분이 어떻게 자느냐에 달려있기도 합니다. 혈액이 눈 밑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개를 여러 개 사용하여 머리 높이를 올리면 붓기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티백 활용
차가운 티백을 눈에 찜질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차에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혈관을 축소해주는 카페인과 항산화제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검은색 또는 녹색 티백 두 개를 뜨거운 물에 5 분간 담급니다. 그다음 냉장고에 15~20분 동안 넣어 차갑게 만듭니다. 티백이 차가워지면 10~20분 동안 눈 위에 놓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찬 물로 눈을 헹구면 됩니다.
메이크업
물론 화장으로 다크서클을 치료하지 못합니다. 다만 가려줄 수는 있습니다. 컨실러로 다크서클을 덮어주면 가려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기 때문에 치료를 병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의료 치료
보다 효과적이고 영구적인 해결책을 위해 다크서클을 줄여주는 의학적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가까운 병원에서 의사와 상담하시면 좋습니다.
우리 모두 다크서클 없애고 건강해 보이는 얼굴이 됩시다!!
'▶ 건강팁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저근막염 치료방법 집에서 자가치료 해봐요 (0) 2019.08.04 꿀잠자는 방법 (월요병의 이유, 적절한 수면시간) (0) 2019.08.03 비염에 좋은 차, 음료 (0) 2019.07.22 걷기운동효과 10가지 (0) 2019.07.20 수박을 너무 많이 먹으면 안되는 이유 (0) 2019.07.19